아시아교정포럼 학술지
교정담론 제10권 1호 : 1-32, 2015
이땅에서 수용자 가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 서비스 개입 사례를 중심으로 -
이 경 림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상임대표, 사회복지학 박사)
최 경옥(아동복지실천회 세움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학 박사)
[국문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국내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주제인수용자 가족의 삶이 어떠한지 이해하고 수용자 가족에 대한 정책과 서비스 실천에서고려할 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용자 자녀 특성, 가정실태, 부모수용에 대한 정보, 생활의 어려움, 욕구, 강점 등을
면접하여 생활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그중에서 5사례를 선정하여 수용자 가족으로 살아가는 삶의 경험을 심층 파악하였고
이를 질적 사례연구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용자 가족에 대한 심리, 정서적, 문제행동 예방, 경제적 지원, 양육자에 대한 지지, 사회적 편견으로부터의 옹호, 가족유대감 강화를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아시아교정포럼 학술지
교정담론 제10권 1호 : 1-32, 2015
이땅에서 수용자 가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 서비스 개입 사례를 중심으로 -
이 경 림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상임대표, 사회복지학 박사)
최 경옥(아동복지실천회 세움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학 박사)
[국문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국내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주제인수용자 가족의 삶이 어떠한지 이해하고 수용자 가족에 대한 정책과 서비스 실천에서고려할 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용자 자녀 특성, 가정실태, 부모수용에 대한 정보, 생활의 어려움, 욕구, 강점 등을
면접하여 생활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그중에서 5사례를 선정하여 수용자 가족으로 살아가는 삶의 경험을 심층 파악하였고
이를 질적 사례연구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용자 가족에 대한 심리, 정서적, 문제행동 예방, 경제적 지원, 양육자에 대한 지지, 사회적 편견으로부터의 옹호, 가족유대감 강화를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