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교정포럼 학술지
교정담론 제11권 3호 : 1-29, 2017
수용자자녀의 양육실태 및 성장환경과 개선방안*
- 미성년자녀 양육자 조사를 중심으로 -
최 경 옥 (아동복지실천회 세움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학 박사)
[국문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수용자자녀들의 양육실태와 성장환경을 분석하고 수용자자녀 지원정책과 서비스 실천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것이다. 이연구를 위해 전국12개의 교정기관을 통해 수집한 양육자 242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용자녀들은 엄마와 가장 많이 살고 있었으며 수용자녀 양육가정의 대다수는 국가로부터 아무지원도 받고 있지 않았다.
공적지원 중 국민기초생활보장지원을 받고 있는 가정은 11.9%로 빈곤율이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양육자들은 부모의 역할을 대신 하는 일과 경제적 어려움을 가장 많이느끼고 있었다.
둘째, 수용자자녀들은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다.
자녀들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의욕이 없고 대화를 피하거나 공부에 관심 없고 성적이 낮다는 것이었다. 셋째, 수용자자녀들은 부모의 수용사실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경우보다 모르고 있는 경우가 높았으며 수용된 부모를 접견하지 못한 경험이 접견한 경험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용자자녀 양육자 및 경제적지원, 수용자자녀 심리ㆍ정서적 지원과 문제행동 예방, 수용자자녀의 부모수용사실 알권리 보장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아시아교정포럼 학술지
교정담론 제11권 3호 : 1-29, 2017
수용자자녀의 양육실태 및 성장환경과 개선방안*
- 미성년자녀 양육자 조사를 중심으로 -
최 경 옥 (아동복지실천회 세움연구소 연구원, 사회복지학 박사)
[국문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수용자자녀들의 양육실태와 성장환경을 분석하고 수용자자녀 지원정책과 서비스 실천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것이다. 이연구를 위해 전국12개의 교정기관을 통해 수집한 양육자 242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용자녀들은 엄마와 가장 많이 살고 있었으며 수용자녀 양육가정의 대다수는 국가로부터 아무지원도 받고 있지 않았다.
공적지원 중 국민기초생활보장지원을 받고 있는 가정은 11.9%로 빈곤율이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양육자들은 부모의 역할을 대신 하는 일과 경제적 어려움을 가장 많이느끼고 있었다.
둘째, 수용자자녀들은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다.
자녀들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의욕이 없고 대화를 피하거나 공부에 관심 없고 성적이 낮다는 것이었다. 셋째, 수용자자녀들은 부모의 수용사실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경우보다 모르고 있는 경우가 높았으며 수용된 부모를 접견하지 못한 경험이 접견한 경험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용자자녀 양육자 및 경제적지원, 수용자자녀 심리ㆍ정서적 지원과 문제행동 예방, 수용자자녀의 부모수용사실 알권리 보장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